기업분석 - 옵트론텍(082210) 폴디드 줌과 자동차 전장화 수혜 예상
이번에는 자동차전장부품관련주인 옵트론텍 주가 전망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동사는 스마트폰 등에 활용되는 이미지센서용 필터와 디지털카메라, CCTV, 전장용으로 활용되는 광학렌즈 및 렌즈 모듈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카메라 관련주로 보시면 되겠으며 관련 업체로는 엠씨넥스와 LG이노텍등이 떠오릅니다.
- 시가총액: 2794억 원
- PBR: 2.27
- PER: 42.33
옵트론텍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천진, 동관, 홍콩, 베트남 등 해외사업장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매출 구성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이미지센서용 필터가 70.14%로 가장 높은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프리즘 15.33% 광학렌즈 및 모듈 9.67%, 가변 조리개 2.07%씩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스마트기기에 활용되는 이미지센서용 필터가 70% 이상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폴디드 줌 수요 확대로 인한 프리즘 매출 구성 비중, 자동차 전장화에 따른 차량용 광학렌즈 및 렌즈 모듈의 매출 구성 비중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 리포트 체크
관련 리포트 한번 체크해봐야겠죠. 리포트는 메리츠증권의 주민우 애널리스트님의 리포트이며 '주가 상방을 열 3가지 열쇠'라는 타이틀의 리포트입니다. 리포트상에서는 따로 매수 의견에 대해서 제시하진 않았습니다. 3가지 열쇠가 어떤 것인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 1) 아이폰 폴디드 줌 프리즘
- 일단 폴디드 줌이 어떤 것인지 한번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카메라 줌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접히는 카메라 줌을 도입한다고 합니다. 폴디드 줌 카메라는 사물을 당겨서 찍는 역할을 하는 망원 렌즈가 세로가 아닌 가로로 구현되어 카메라가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고 합니다. 쉽게 설명하여 카메라 모듈이 누워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애플의 폴디드 줌 모듈을 준비하는 업체는 각각 삼성전기, LG이노텍, 자화전자 이렇게 3 업체가 있습니다. 이 3 업체 모두 폴디드 줌에 들어가는 '프리즘'을 생산하는 옵트론텍과 협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 개별 프리즘 단가는 1달러 초반으로 추정되나 보통 어셈블리가 부착되어 모듈로 공급된다고 하는데 모듈 형태의 판가는 약 3~4달러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매년 아이폰 판매량은 7500만 대 내외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중 2500만 대에만 탑재된다고 가정한다면 매년 1000억 원의 신규 매출 발생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이는 올해 예상 매출액인 2863억의 35% 수준이라고 합니다.
- 2) 차량용 렌즈
- 차량용 렌즈의 경우 운전자의 안전과 직결이 되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이 요구가 됩니다. 이에 따라 고객사로부터 까다로운 품질 검증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옵트론텍은 국내 카메라모듈 업체를 통하여 테슬라와 폭스바겐, 벤츠 등 글로벌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고 합니다.
- 옵트론텍은 외부 환경의 영향을 받기 쉬운 차량에 장착되다 보니 차량용 렌즈를 플라스틱이 아닌 변형 위험도가 낮은 글라스 렌즈에 집중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이 렌즈를 제조하기 위한 광학설계, 기구설계, 회로 설게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타 업체 대비 기술 장벽이 꽤나 높다고 합니다.
- 3) 라이다 모듈
- 테슬라만 의외로 라이다 없이 소형 카메라와 AI 기술을 통하여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 말인즉슨 테슬라 외의 기업들의 경우 주변 도로 지형이나 차량, 사람을 인식하는 라이다 기술을 활용하여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옵트론텍은 테슬라 외의 자동차 제조사에게 올해 10월부터 라이다를 양산 및 공급할 예정이며 올해 약 400억 원의 신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밝혀왔습니다.
스마트폰에 납품되는 부품에 비해 자동차에 납품되는 부품의 마진이 굉장히 높다고 합니다. 매출 구성비가 높은 이미지센서용 필터 외에도 프리즘과 광학용 렌즈 역시 매출 구성 역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니 한번 지켜보셔도 좋을 듯싶습니다.
▣ 컨센서스
컨센서스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리포트의 논리대로라면 예상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이미지센서용 필터의 매출액인 약 1580억 원에 프리즘 예상 매출액 1000억 원, 광학렌즈 매출 400억을 더한다면 예상 매출액은 대략 2640억 원 + ∝ 수준의 실적을 기록하지 않을까 예상이 됩니다.
▣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한번 체크해보겠습니다. 3 Q20 기준 자산총계 2880억 원에 부채비율은 163.61%로 비교적 인상적인 수준에 속합니다.
유동자산은 936억 원에 유동부채 1270억 원, 유동비율 73%로 유동자산 규모는 상당히 아쉽습니다. 작년 12월에는 12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도 발생한 이력이 있습니다. 투자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옵트론텍, 테슬라향 자율주행용 전장 모듈 렌즈 유니트 공급
옵트론텍이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에 자율주행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유니트을 공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장용 카메라용 렌즈는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플라스틱 사출 렌즈보다 정밀하고
www.mk.co.kr
옵트론텍에 대해서 쭉 살펴보았지만 확실한 고객사 확보는 물론이고 사업 전망도 좋아 보입니다. 충분히 꾸준한 실적 성장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 다만 재무상태가 마음에 걸립니다. 특히 유동자산 규모가 상당히 아쉽네요.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재정상태가 안 좋은 기업의 경우 유상증자나 전환사채 발행 등 자금 조달을 위하여 주가의 가치를 희석시키는 경우가 많아 사실 투자를 고민하기엔 망설여지는 게 사실입니다. 이점 유념하시어 투자하신다면 좋은 성과 낼 수 있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제가 쓰는 글은 제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가볍게 풀어서 쓴 글로 투자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어선 안 되겠습니다. 반드시 직접 공부해보시고 신중하게 판단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