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글로벌 주가전망(003070) 건설도, 수입차도 실적 최고!

주식/주식 기업 분석|2021. 3. 15. 21:56
반응형

목차


    1. 기업개요

    2. 리포트 체크

    3. 컨센서스

    4. 재무상태표

 

 기업개요

 

  • 시가총액: 5181억 원
  • PER: 5.82배
  • PBR: 0.98배

 

코오롱글로벌 주가전망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코오롱글로벌은 건설과 수입자동차 판매, 철강재, 화학재, 산업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벨류에이션 자체는 상당히 낮은데 동종 산업의 벨류에이션 자체가 낮다는 점 참고 바랍니다.

 

매출 구성 매출비중
건설계약 52.41%
수입 자동차 판매 35.37%
철강재, 화학재, 산업소재 등 10.87%
스포츠센터 0.90%
기타 0.45%

코오롱글로벌의 주요 매출구성을 살펴보면 건설과 수입 자동차 판매에서 대부분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건설의 경우 토목, SOC, 건축, 주택, 환경, 플랜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수입차의 경우 전년 하반기 볼보의 수입사인 코오롱오토모티브와 아우디 수입사인 코오롱아우토를 인수하면서 BMW 뿐만 아니라 국내 판매량 상위 브랜드인 볼보와 아우디까지 판매하고 있습니다. 

 

거기다 최근 BMW의 SUV 인기가 상당합니다. 이에 따른 실적 호조로 이익 개선을 보이고 있으며 볼보와 아우디 판매 신규 편입 역시 실적 성장에 큰 역할을 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철강재와 화학재, 산업소재 등 무역상사에서도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 전년도 4분기 이익은 큰 폭 증가하였는데 자세한 내용은 리포트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리포트 체크

코오롱글로벌 관련 리포트를 체크해보겠습니다. 리포트는 교보증권의 백광제 애널리스트님의 리포트입니다.

 

  • 증권사 목표주가: 27,000원
  • 목표수익률: 31.4%

 

4Q20 실적 체크

 

  • 매출액: 1조2000억 원(YoY +30.6%)
  • 영업이익: 474억원(YoY +15%)
  • 매출이익률: 3.95%

먼저 전년도 4분기 실적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건설과 상사 이익 개선으로 연결 자회사 회복을 기록하면서 전분기 대비 이익이 큰 폭 개선되었습니다.

 

특히 수원 곡반정 등 착공 물량 진행률 상승에 따른 주택 매출액 증가 등 추가 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수입차 유통의 경우 판매량은 증가하였으나 수입사의 판매 정책 변경과 성과급 반영에 따른 이익 감소를 기록하였다고 합니다. 

 

무역상사의 경우 매출비중이 적다 보니 구조조정을 통한 외형축소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했다고 합니다.

 

올해 실적 전망도 상당히 좋습니다. 일단 전년도 실적은 연초 가이던스 1400억 원을 26%나 초과한 1764억 원으로 호실적을 기록하였는데 올해도 이 성장세를 이어나갈 것이란 전망입니다. 그 근거로 3가지를 제시하였는데

 

  1. 풍부한 누적 수주잔고(9조원), 신규수주 2.7조 원, 착공 진행 물량 증가에 따른 건설 이익 증가
  2. BMW SUV의 판매 호조에 따른 유통부문 이익 개선
  3. 아우디와 볼보 판매 수입사 인수에 따른 자회사 연결 실적 반영, 가이던스 초과 달성 기대

 

위 3가지 근거를 통해 해당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27,000원, 매수의견을 유지하였습니다. 

.

 컨센서스

코오롱글로벌의 컨센서스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확실히 매출이익률은 4.7%로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은 상당히 낮죠. 이는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건설업과 수입차 유통의 매출이익률이 낮을 수밖에 없는 산업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실적 성장이 예상됨에 따라 PER이 4.42배까지 내려갈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만약에 동종업종 평균 PER인 6배를 적용한다면 27,430원까지 주가 상승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리포트에서 제시한 목표주가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리라 보입니다.

 

 재무상태표

 

  • 자산총계: 2조 2307.9억 원
  • 부채비율 326.37%
  • 유동자산: 1조 395.6억 원
  • 유동부채: 1조 3840.8억 원
  • 유동비율: 75%

 

코오롱글로벌의 자산규모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일단 부채비율이 상당히 높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비교적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부채비율은 낮춰야 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유동자산규모도 상당히 아쉽습니다. 유동비율 75%로 유동자산규모보다 유동부채 규모가 더 높습니다. 유동부채도 개선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320x10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