팅크웨어 주가전망(084730) 아이나비, 이제는 글로벌에서 통하다!
목차1. 기업개요 2. 리포트 체크 3. 컨센서스 4. 재무상태표 |
▣ 기업개요
- 시가총액: 1689억 원
- PER: 30.35배
- PBR: 1.03배
팅크웨어 주가 전망에 대해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팅크웨어는 블랙박스와 내비게이션, 틴팅 필름 전문 기업이며 특히 국내 블랙박스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전문 업체입니다. 다들 팅크웨어보다는 아이나비가 더욱 친숙하실 텐데 아이나비는 팅크웨어가 소유하고 있는 브랜드입니다.
매출 구성 | 매출비중 |
블랙박스 | 72.37% |
차량용 액세서리 | 18.81% |
내비게이션 | 5.55% |
모바일서비스 | 3.27% |
팅크웨어의 매출 구성을 살펴보면 블랙박스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본래 내비게이션 회사로 유명하였으나 최근 차량에 내비게이션이 기본 장착되다 보니 내비게이션 시장이 많이 축소되었습니다.
다만 내비게이션 사업에 대해서 여전히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아이나비가 내비게이션을 통해 보여준 증강현실 내비게이션 기술입니다. 이 증강현실 내비게이션의 경우 ADAS와 IT기술을 활용하여 차로 감지와 주변 사물, 사람 감지 등 지도가 아닌 전방 화면에 경로를 표시해주는 기술로 자율주행기술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어 추후 자율주행 관련주로도 묶일 가능성이 큽니다.
블랙박스 역시 최근 제조사들이 빌트인 캠을 옵션으로 선보이면서 블랙박스 기업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었던 적이 있으나 압도적인 블랙박스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제작된 블랙박스 수요는 오히려 증가 추세를 이루고 있으며 또한 최근 제조사에 직접 블랙박스 등 부품을 납품할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모바일 서비스의 경우 위치 연동 모바일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실시간 충격 감지 서비스인 아이나비 커넥티드의 수입으로 보입니다. 또한 최근 행보를 보니 교육용 특화 태블릿 PC나 전동 킥보드 등 사업영역을 확장해나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리포트 체크
팅크웨어 관련 리포트를 살펴보겠습니다. 리포트는 SK증권의 나승두 애널리스트님의 리포트입니다.
증권사 목표주가: N/A
2020년 실적 체크
매출액: 1967억 원(YoY +8.4%)
영업이익: 125억 원(YoY +59.5%)
매출이익률: 6%
블랙박스 보급률이 높은 우리나라와는 달리 북미와 유럽, 일본 등의 경우 블랙박스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시기라고 합니다. 이는 팅크웨어와 같은 기술 경쟁력을 지닌 기업에게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일본 내에서 블랙박스의 매출 확대와 고가 제품의 수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일단 각 지역의 현지 상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 북미: 주마자 자동차 앞면 유리 방해 물건 제한 관련 법률이 각각 상이하다 보니 블랙박스 보급률이 저조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다만 최근 차량 관련 범죄와 사건사고 예방 및 보험료 할인 혜택 등의 유인책을 통하여 블랙박스 설치를 장려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 유럽: 2022년부터 신차에 EDR/차선 유지/졸음 감지 등 약 30여 가지의 첨단 안전제품 장착을 의무화한다고 밝혀왔습니다. 또한 블랙박스 설치 시 자동차 보험료의 큰 폭 할인해주는 유인책이 시행됨에 따라 블랙박스 시장 점유율이 상승할 것으로 보입니다.
- 일본: 블랙박스 애프터마켓(B2C)이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B2B 시장에서의 탑재율은 저조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B2B 시장의 진입이 예상되는데 최근 일본 내 국산 블랙박스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과 일본 내 글로벌 완성차 업체로의 블랙박스 매출이 성장하고 있는 점은 매우 긍정적인 상황이라고 합니다.
내비게이션에 대한 언급도 있습니다. 내비게이션이라는 하드웨어의 수요는 감소하고 있으나 오히려 아이나비 내비게이션의 지도 빅데이터는 활용가치가 높아지는 중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자율주행에도 활용될 것으로 보이며 드론이나 전동 킥보드 등 모빌리티 사업에 진출하면서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 참고 바랍니다.
▣ 컨센서스
리포트 내용에서 언급드렸다시피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도 대비 성장하였습니다. 특히 영업이익의 경우 대폭 개선되었는데 2017년도와 2018년도와 비교하였을 때 매출이익률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보입니다. 매년 실적도 꾸준하지만 무엇보다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 포착된 만큼 긍정적으로 지켜보셔도 좋을 듯싶습니다.
▣ 재무상태표
- 자산총계: 2206.1억 원
- 부채비율 44.00%
- 유동자산: 1293억 원
- 유동부채: 589.9억 원
- 유동비율: 219.2%
팅크웨어의 재무상태도 살펴보겠습니다. 한눈에 봐도 상당히 양호합니다. 부채비율도 44% 수준으로 굉장히 안정적이며 유동비율도 219.2%로 유동자산규모도 상당히 안정적인 수준입니다.
제가 쓰는 글은 제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가볍게 풀어서 쓴 글로 투자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어선 안 되겠습니다. 반드시 직접 공부해보시고 신중하게 판단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