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 SKC(011790) 넥실리스 증설 가속화, 성장에 성장을 더하다! 2차전지, 반도체 소재 관련주, 동박관련주, 화학관련주
▣ 기업개요
이번에는 배터리용 동박 제조 기술 세계 1위의 동박 관련주인 SKC 주가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SKC는 2차 전지의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동박과 모빌리티 사업과 반도체 사업에 활용되는 소재를 제조하는 제조사이며 연결회사인 SK넥실리스의 성장에 따른 SKC의 실적 성장도 기대가 됩니다.
- 시가총액: 4조9607억원
- PBR: 2.38
- PER: 55.04
SKC가 취급하는 제품이 상당히 많습니다. 주로 필름과 동박 등 2차 전지와 반도체 등에 활용되는 소재를 생산하는데 간단하게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지 한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전지용 동박
전지용 동박은 전기차 리튬 배터리용 음극 소재로 전기차의 핵심 부품이라 볼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전지의 음극재 소재로 활용되며 이 음극재의 역할은 전류의 흐름을 조절해주며 배터리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전지용 동박은 자회사인 SK넥실리스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양산하고 있습니다. - PCT 필름
PCT필름은 SK케미컬과 공동 개발하여 상용화된 제품이며 우수한 내열성과 내습성, 내화학성을 갖추고 있어 차량에 많이 활용되는 소재입니다. 주로 케이블로 많이 활용되며 향후 5G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됩니다. - PVB 필름
PVB 필름은 자동차와 건축 접합 안전유리에 적용되는 필름으로 소음과 열, 자외선 차단에 탁월합니다. 여러분들 다들 아시겠지만 차량이나 건물 등에 사용되는 유리는 외부 충격에도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필름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외부 충격을 받으면 유리가 쉽게 깨지지 않고 외부로 파편이 튀는 것도 바로 이 필름이 부착돼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CMP 패드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ad)
CMP 패드는 반도체의 웨이퍼 표면을 물리, 화학반응으로 연마하여 평탄하게 만들며 집적도를 높이는 데에 활용되는 제품입니다. - CMP 슬러리
슬러리는 CMP 패드의 역할을 돕는 액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웨이퍼를 통해 CMP 패드를 눌러 평탄화 하는 과정에서 분사하는 액체라고 보시면 이해가 쉬울 듯합니다. - 블랭크 마스크
블랭크 마스크는 반도체 노광 공정의 핵심 부품이라고 합니다. 반도체의 기술이 발전할수록 미세한 패턴을 현성할 수 있는 고해상도의 포토 마스크가 필요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블랭크 마스크는 필수 소재라고 합니다. - 생분해 PLA 필름
생분해 PLA 필름은 보통 과일 같은 거 포장할 때 사용되는 비닐이 비로 이 생분해 PLA 필름이며 쇼핑팩이나 잡지 등 도서류 포장에 사용되는 비닐도 이와 같은 소재를 활용했다고 합니다. 해당 필름은 옥수수 추출 바이오매스 성분으로 만들어져 온실가스 저감에 기여하며 유해성분 없이 생분해되는 친환경 소재라고 합니다. - SKC 에코라벨
SKC 에코라벨은 페트병에 붙은 라벨의 소재입니다. PET 재질로 만들어져서 포장의 인쇄만 씻어내면 PET 병과 함께 재활용이 가능하여 굳이 비닐로 분리 배출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윈도 필름
윈도 필름은 자동차 운전자 분들이라면 아마 다 아실겁니다. 자외선과 적외선을 차단하는 틴팅 필름을 뜻합니다. 차량 소유자 분들이라면 아마 이 윈도우 필름의 단가가 얼마나 비싼지는 아시리라 생각합니다. - 디스플레이용 투명 PI 필름
SKC의 투평 PI 필름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활용이 됩니다. 유리처럼 표면이 딱딱하면서도 접히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여러 번 접혀도 자국이 남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한 가지 떠오르는 제품이 있으시죠? 폴더블 폰 디스플레이에 활용된다고 합니다. - 포장용 열수축 필름
포장용 열수축 필름은 음료수와 유제품에 사용되는 소재이며 PET, PS, PE, Glass, Can 등 다양한 소재의 수축 라벨로 사용된다고 합니다. - 산업용 원착 필름
필름의 원료로 쓰이는 투명 칩에 색상을 입힌 뒤 필름을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된 폴리에스터 필름입니다. 주로 차량이나 건축용 윈도우 필름의 베이스 필름으로 활용된다고 합니다. - 그래픽용 초투명 필름
그래픽용 초투명 필름은 X레이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으로 활용되는 소재입니다. 해당 제품은 투과율도 좋고 헤이즈 정도가 낮다 보니 투명도가 중요한 제품에 활용된다고 합니다.
많은 제조 품목이 있지만 그중에서 지켜봐야 할 제품은 바로 SK넥실리스에서 생산하고 있는 동박입니다. SKC는 동박 제조업체인 KCFT(현 SK넥실리스)를 인수하여 모빌리티 사업에 새롭게 진출하면서 전기차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끝마쳤습니다.
SK넥실리스는 2025년까지 현재 동박 생산량의 3.5배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하여 공장 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하니 동박 소재의 매출 구성비 성장을 기대해봐도 좋을 듯싶습니다.
▣ 리포트 체크
관련 리포트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리포트는 메리츠증권의 노우호 애널리스트님의 리포트입니다. '2021년 BM 구조적 개선'이라는 타이틀의 리포트이며 목표주가 14만 원에 매수의견을 제시하였습니다.
4 Q20 기준 영업이익은 550억 원, 20년 영업이익은 1877억 원(YoY +21%)으로 모빌리티와 반도채 소재를 중심으로 실적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혀왔습니다. 특히나 자회사인 SK넥실리스가 글롭러 1위 규모를 구축하기 위한 동박 생산 설비 증설과 말레이시아 투자를 통한 유럽과 미국의 생산 거점을 확보한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나 2019년부터 동사가 추진하고 있는 BM 혁신의 성과물들이 가시화되고 있으며 본업에서의 제품 고부가화를 통한 이익률 방어와 반도체 소재와 넥실리스의 성장 속도의 가속화 역시 SKC의 투자 포인트로 꼽았습니다. 한번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컨센서스
컨센서스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실적은 말씀드렸다시피 18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 상승하였지만 컨센서스는 하회하는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작년 실적은 중요한 게 아니죠. 중요한 건 올해 실적입니다. 동박 사업을 중심으로 모빌리티 영역에 발을 들이면서 큰 폭 실적 성장을 이루어낼 것으로 보입니다.
▣ 재무상태표
재무상태 한번 체크해보겠습니다. 자산규모는 5조 8536억 원에 부채비율은 183.5%로 다소 양호한 편에 속합니다. 유동자산규모는 1조 6440억 원에 유동부채 1조 9891억 원, 유동비율은 83%로 상당히 아쉬운 편에 속합니다. 전년 동기 대비 부채비율과 유동부채가 눈에 띄게 상승하였는데 SK넥실리스의 증설 등 설비 투자가 요인으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쓰는 글은 제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가볍게 풀어서 쓴 글로 투자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어선 안 되겠습니다. 반드시 직접 공부해보시고 신중하게 판단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