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 인크로스(216050) 온라인 마케팅 시장 성장! 인크로스와 동반하다
이번에는 SKT의 자회사이자 공식 광고대행사인 인크로스 주가전망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KT는 특히 본업 실적도 좋지만 연결되어 있는 11번가, 원스토어, SK브로드밴드, T맵 등 비상장 자회사의 실적이 상당히 좋습니다. 이에 따라 자회사인 인크로스 역시 SKT의 자회사들의 마케팅 활동에 따른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최근 마케팅 시장의 가파른 성장세에 따라 온라인 마케팅 대행사인 인크로스 역시 큰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시가총액: 3916억원
- PBR: 4.69
- PER: 32.53
인크로스는 동영상 광고 네트워크 플랫폼인 다윈이라는 브랜드를 주력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곰TV나 아프리카 TV, 판도라 TV 등 국내 주요 동영상 매체와 제휴하여 사업 기반을 확장 중이라고 합니다.
저 역시 회사에서 마케팅 쪽 업무를 담당하고 있어 이 다윈이라는 서비스를 알아보았던 경험이 있어서 그런지 더욱 반가운 느낌이 듭니다. 이토록 저뿐만 아니라 기업의 마케팅을 담당하는 수많은 인하우스 마케터들에게는 꽤나 유명한 광고대행사입니다.
주요 매출 구성은 미디어렙에서 발생합니다. 이 미디어렙은 다윈에서 나오는 매출이며 동영상 광고 플랫폼의 광고 중개 역할을 하면서 수수료를 받으면서 생기는 매출입니다.
애드 네트워크의 경우 배너광고나 키워드 광고, SNS 대행 등, 온라인 네트워크 광고 대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대행수수료에서 발생하는 금액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해당 기업의 마케팅 집행 비용의 10~20% 정도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한 기업에서 1년 마케팅 예산을 10억으로 잡는다면 인크로스는 연간 1~2억 원의 수수료를 받게 되는 것이죠.
서비스 운영은 자회사인 인프라 커뮤니케이션즈에서 발생되는 매출로 앱 운용 통합 서비스입니다. 어플 마케팅부터 품질 개선 관리, CS관리 등등을 대행하는 업체이죠. 뭐 한마디로 어플 통합 관리 서비스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세 업체의 경우 이런 통합 관리를 함에 있어 인건비에 큰 금액을 투자하기 어렵다면 이렇게 관리 서비스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 리포트 체크
관련 리포트 한번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리포트는 키움증권의 이남수 애널리스트님의 리포트입니다. 목표주가 7만 원으로 매수의견 제시하였습니다. 'T-Deal의 폭발적 성장 전망'이라는 타이틀의 리포트입니다.
T-Deal이란 SKT 고객의 빅데이터를 활용한 효율 높은 광고 집행 전략 사업입니다. 겉으로 보면 그냥 평범한 쇼핑몰처럼 보이지만 각 소비자별 연령층이나 성별에 따른 선호도가 높은 제품만 추천한다면 당연히 구매로 이어지는 확률이 높아지겠죠.
인크로스는 바로 이 T-Deal 플랫폼 앱을 출시하여 고객들도 만족할 수 있으며 광고주들도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합니다. 2020년에는 16억 원 수준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나 올해부터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디어렙 부문의 매출도 꾸준히 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9년 267억, 2020년 307억 원으로 2020년 기준 전년 대비 매출이 10% 상승하였으며 최근 모바일 등 디지털 광고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앞으로도 성장 추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시장과 지상파, 종편 등 TV광고 시장은 지속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디지털 마케팅 시장은 꾸준히 성장 중에 있습니다. 오프라인은 지역이 한정돼있고 비용도 비싸다 보니 전국 사업을 벌이고 있는 영세업체의 경우 부담스럽지만 온라인 광고는 적은 금액으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보니 큰 기업들 뿐만 아니라 영세업체들의 활용도가 높다 보니 아무래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기록할 수밖에 없는 것이죠. 한번 지켜보셔도 좋을 듯싶습니다.
▣ 컨센서스
컨센서스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작년을 기점으로 예상 컨센서스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 역시 동의합니다. 인크로스와 관계없이 해당 시장의 성장률이 굉장히 높기 때문에 저는 충분히 달성 가능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또한 중개 플랫폼과 대행업체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역시 비용 지출이 적다는 것입니다. 사실상 인건비나 건물 유지비 등등을 제외하고는 크게 들어가는 지출 비용이 없습니다. 그렇다 보니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이 높습니다. 매출액 성장과 함께 영업이익 역시 가파르게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오니 참고하시길 바라겠습니다.
▣ 재무상태표
인크로스의 재무상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자산규모는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3Q20 기준으로 부채비율 118.53%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유동자산도 자산규모 1549억 원 대비 유동자산 1410억 원 수준에 유동부채 803억으로 유동비율 175%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산총계 대비 유동자산 규모가 상당히 높죠. 이는 역시 플랫폼 사업이기에 가능한 수치로 보입니다. 투자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쓰는 글은 제가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가볍게 풀어서 쓴 글로 투자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어선 안 되겠습니다. 반드시 직접 공부해보시고 신중하게 판단하시어 투자에 임하시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